모토로라 코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토로라 코리아는 1968년에 설립된 기업으로, 통신 장비 및 반도체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국내 가전 회사에 IC를 공급하며 한국 전자 산업 발전에 기여했으며, 무선 호출기 및 셀룰러 시스템을 국내에 처음 도입하여 이동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2000년대에는 모토로라반도체통신에서 모토로라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하고 휴대전화 사업을 시작했다. 2011년에는 모토로라 모빌리티와 모토로라 솔루션으로 분할되었으며,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는 2013년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가 2022년 LG헬로비전을 통해 재진출했다. 현재 모토로라 코리아는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 모토로라 솔루션 코리아, 품질 보증 및 고객 서비스 부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3년 해체된 기업 - 뉴스 코퍼레이션
1979년 루퍼트 머독이 설립한 뉴스 코퍼레이션은 세계적인 신문과 방송 채널을 인수하며 성장했으나, 논란과 분할을 거쳐 현재는 출판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보수적 편향성으로 비판받고 있다. - 2013년 해체된 기업 - 종근당
종근당은 1941년 이종근이 설립하여 1968년 미국 FDA 승인을 받은 최초의 한국 제약 회사로, 2013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 후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힘쓰고 있다. - 1968년 설립된 기업 - 나가노 방송
나가노 방송(NBS)은 1969년 개국한 후지TV 계열의 나가노현 민영 방송국으로,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컬러 방송 도입과 디지털 방송 개시 등 기술 발전을 이루었고 현재는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계열 프로그램을 통해 나가노 지역 사회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68년 설립된 기업 - 일진그룹
일진그룹은 1967년 허진규 회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기업 집단으로, 전력, 소재, 부품, 건설, 의료, IT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5개의 상장 자회사를 두고 있고, 일진홀딩스가 지주회사 역할을 수행한다. - 모토로라 - 모토로라 모토글램
모토로라 모토글램은 모토로라에서 출시한 스마트폰으로, 안드로이드 2.2 프로요 업데이트를 지원하며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에서 출시되었다. - 모토로라 - 모토로라 드로이드 미니
2013년 8월에 출시된 모토로라 드로이드 미니는 4.3인치 AMOLED 디스플레이, 1.7GHz 듀얼 코어 프로세서, 2GB RAM, 퀄컴 스냅드래곤 S4 Pro 칩셋을 탑재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버라이즌 통신사를 통해 미국에서 독점 출시되었으며 모토로라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모토로라 코리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모토로라 코리아 |
원어 | Motorola Korea, Inc |
형태 | 주식회사 |
산업 | 전문 전자산업(무전기) |
창립 | 1968년 |
장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2동 215 하이브랜드 리빙관 |
인물 | 대표 정철종 |
서비스 | 모토로라의 한국법인 |
주주 | (주)모토로라 코리아 100% (모토로라 본사에서 100% 출자) |
모기업 | 모토로라 미국법인 겸 구글 |
영어 | Motorola Korea |
![]() |
2. 역사
1968년 모토로라 코리아가 설립되었다.[2][3]
1970년대 금성사(지금의 LG전자)와 삼성전자는 TV 생산 경쟁에서 "IC TV"를 내놓았는데, 이 TV에 채용된 최초의 IC는 모토로라의 "TV sound IF amplifier" 회로를 집적한 MC1358P였다. 모토로라 코리아는 모토로라 반도체의 조립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셀룰러 통신 기술 덕택에 한국 시장에서 한국이동통신의 하드웨어를 독점 공급하였다. "말뚝 휴대폰"과 "삐삐"로 알려진 무선호출기(wireless pager) 판매도 모토로라가 독점했다.
이후 모토로라 코리아는 국내 반도체 생산 기술 확산과 이동통신 기술 도입에 기여하며 한국 전자산업 발전에 공헌했다.
2000년대 들어, 모토로라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하고 반도체 부문은 분리되어 휴대 전화와 전문 사업을 담당하게 되었다.[4] 2000년에는 패션 휴대폰 모토로라 V.(브이닷)을 출시했다.
2011년 1월 4일 모토로라 미국 본사가 모토로라 모빌리티와 모토로라 솔루션스로 분할되면서 모토로라 코리아도 2개 부서로 나뉘었다. 2011년 8월 15일 미국 본사가 구글에 125억달러에 인수되었지만, 대한민국에서는 별도 법인으로 운영되었다.[5]
대한민국에서는 SK텔레콤만 모토로라 제품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지만,[6] 모토로라 아트릭스는 KT로도 출시되었다.[7]
2012년 한국 사업 부진으로 2013년 2월 28일부로 한국 사업을 철수했다.[8] 2022년 5월 LG헬로비전을 통해 휴대폰 사업 철수 9년 만에 한국 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2. 1. 설립 초기 (1968년 ~ 1990년대)
1968년 모토로라 코리아가 설립되었다.[2][3]1970년대 모토로라는 일반적인 한국인들에게 잘 알려진 기업은 아니었지만, 금성사(지금의 LG전자)와 삼성전자에게는 잘 알려진 회사였다. 두 회사는 TV 생산에서 경쟁 관계에 있었는데, 진공관 TV에서 트랜지스터 TV로 전환하고 있었고, 그 와중에 소비자에게 어필할 무언가가 더 필요했고, 그래서 내놓은 것이 "IC TV"였다. 이 TV는 자신들의 TV에 IC가 들어가 있다는 것이었는데, 그들이 국산 TV에 채용한 최초의 IC는 모토로라의 "TV sound IF amplifier" 회로를 집적한 MC1358P였다. 이 IC는 RCA의 CA3065의 호환품이었는데, 당시 한국을 대표하는 가전 3사(앞에 언급된 두 회사 외에 대한전선이라는 회사가 있었다. 이 회사는 나중에 대우전자가 된다) 중 2개 회사에 모토로라의 부품이 채택된 것은, 모토로라가 한국에 조립 라인을 운영하는 현지 법인이 있어서라는 설이 있다.
모토로라는 통신 장비 회사이기도 하지만, 통신 장비를 만들기 위해 반도체를 생산하는 회사이기도 하였다. 모토로라 코리아는 원래 모토로라 반도체의 후공정, 즉 조립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모토로라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기술이었던 셀룰러 통신 기술 덕택에 한국 시장에서 독점적으로 이동통신을 공급하던 "한국이동통신"의 하드웨어를 독점함으로써, 독점 공급자의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 "말뚝 휴대폰"의 유일한 공급자는 모토로라였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인에게 "삐삐"라고 알려진 무선호출기(wireless pager) 판매도 모토로라의 독점적 판매 영역이었다.
이후 모토로라 코리아는 국내에 처음 진출한 이래 국내 반도체 및 후가공업체와의 활발한 기술 교류를 통해 국내 반도체 생산 기술 확산에 기여했고, 무선호출기 및 셀룰러시스템의 국내 최초 도입으로 이동통신 기술을 한국에 소개하는 등 한국의 전자산업기술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2. 2. 성장과 변화 (2000년대)
2000년 모토로라반도체통신에서 모토로라 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했다.[4] 반도체 부문이 분리됨에 따라, 휴대폰 사업과 전문적인 사업에 집중하게 되었다.[4] 같은 해, 패션 휴대폰 'V.(브이닷)'을 출시했는데, 이 제품군 중 대표적인 모델은 한국통신프리텔의 n016 기종인 V8261이다.2. 3. 사업 분할 및 철수, 그리고 재진출 (2010년대 ~ 현재)
2011년 1월 4일 모토로라 미국 본사는 소비자 사업 부문인 "모토로라 모빌리티"와 전문가용 사업 부문인 "모토로라 솔루션스"로 분할되었다. 이에 따라 모토로라 코리아도 두 부서로 나뉘었다. 같은 해 8월 15일, 미국 본사는 구글에 125억달러에 인수되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구글 코리아와 모토로라 코리아가 별도 법인으로 운영되었다.[5]대한민국에서는 SK텔레콤을 통해서만 모토로라 제품을 공급했으나,[6] 모토로라 아트릭스는 KT를 통해서도 출시되었다.[7] 그러나 휴대폰 사업 부진으로 2013년 2월 28일부로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는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8]
2022년 5월, LG헬로비전을 통해 휴대폰 사업 철수 9년 만에 한국 시장에 다시 진출했다.
3. 구조
3. 1. 모토로라 모빌리티 코리아 (2022년 재진출)
3. 2. 모토로라 솔루션 코리아
컨벤셔널 무전기, 모바일 컴퓨터, 바코드 스캐너, 자가망 무선 시스템,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 RFID, 기타 기업 및 정부용 제품과 솔루션을 담당한다.3. 3. 품질 보증 지원 및 고객 서비스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4. 논란
모토로라 코리아는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4. 1. 모바일 사업 철수 (2013년)
모토로라 코리아는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솔루션 사업부와는 달리, 모바일 부문에서는 한국 소비자들을 고려하지 않고 미국 본사의 방침에만 의존하여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았다.[10] A/S와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 사후 지원 면에서 미국 본사와 많은 차이를 보여 비판을 받았고, 이는 판매 부진으로 이어져 결국 모바일 사업부를 철수하게 되었다는 것이 한국 여론의 의견이다.[10]참조
[1]
뉴스
"[글로벌 CEO] 제임스 스틸슨 ASE코리아 사장"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0-06-28
[2]
뉴스
"「모터로라코리아」社竣工(사준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68-01-20
[3]
뉴스
니드햄씨 「모토로라·코리아」代表理事(대표이사)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0-10-24
[4]
뉴스
모토로라반도체통신, 모토로라코리아로 사명변경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0-04-20
[5]
뉴스
구글,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종합)
http://biz.chosun.co[...]
ChosunBiz
2011-08-15
[6]
문서
[7]
뉴스
모토로라 '아트릭스' SKT-KT 4월 동시판매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11-03-02
[8]
뉴스
모토로라, 24년 만에 한국 시장 떠난다 (2012년 12월 11일 작성)
https://news.naver.c[...]
2012-12-11
[9]
뉴스
모토로라코리아 한국시장 철수
https://web.archive.[...]
경제투데이
2012-12-10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